Home | E-Mail  
寫眞畵報(PHOTOS)
敎會史 原本資料/Historical Archivium
Korea Japan China English France Deutsch Italia Espanol Photos





무궁화 축제






8월 15일 성모승천 대축일에는 온 국민이 성모님께 감사해야 할 텐데!!!

[8월 15일 성모승천 대축일]은 예수부활, 성령강림, 예수성탄 대축일과 함께, 천주교회 안에 사도 시대부터 내려온 2000년의 역사와 전통을 지닌, 가장 오래된 축일이다. 主後 100년경을 전후하여, 초대교회 시대에는 지금처럼 천주교신도들도 많지 않았기 때문에, 에페소와 코린토, 테살로니카, 예루살렘, 등의 중앙아시아 지역의 교회에서만, 그리고, 주로 유태인 교포(diasphora) 신자들로 이루어진 소규모 천주교 신자 단체를 중심으로 聖母昇天日을 기념하며, 중요한 기념 축일로 경축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로마 교회를 창립한 사도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Maria Santissima in mezzo ai Santi Apostoli Pietro e Paolo, I fondatori della Chiesa di Roma(M. Garrucci)가 한 가운데 성모 마리아를 모시고 있는 초대교회의 조각상이나 금장식물에서 보듯이, 로마에서는 매우 일찍부터 성모신심이 뿌리를 내렸다.

그리하여 사도들과 그 제자들의 전교활동으로부터 직접적인 가르침과 영향을 받은, 지중해 연안 아프리카 지역과 이태리, 프랑스, 스페인의 남부 지역의 신자들도 중앙 아시아 지역의 여러 교회에서처럼, 대부분 매년 8월 15일에 성모승천 기념 경축예절을 거행하였다. 지나간 2천년 천주교회 역사를 보면, 전쟁의 종식이나 휴전이나 대규모 포로들의 석방이 [성모님 축일]에 이루어지는 특은이기도 하였다. 近代史에서도 성모님께서는 우리겨례를 보살펴 주신다는 사실을 읽어볼 수 있다.

그러나 지역교회의 사정에 따라, 또 시대의 흐름에 따라, 마치 예수성탄 축일처럼, 用語와 날짜와 예절 형식이 조금씩 相異하였다. 그 후, 동로마 제국의 Mauritius 황제가 등극하면서, 主後 580년경에는, 동로마 제국의 모든 국경일 성격을 띤 大祝日들을 통일시키면서, 정리하여 확정할 때, 동방교회 지역 천주교회에 慣習化한 전통을 그대로 지키도록, [8월 15일 성모승천축일]을 그대로 계속 거행하도록 확정선포하므로써 세계화하였다.

또한 主後 650년경을 전후하여서는 이탈리아 북부와 프랑스, 영국, 스페인 북서부, 등, 유럽 북서부 서방교회에까지, 성모께 대한 信心과 함께, [8월 15일 성모승천축일] 전례와 경축예절은 빠르게 전파되었다.

결국, 8월 15일의 성모승천 대축일의 역사는 사도시대부터 시작되어, 2000년의 역사와 전통을 간직하고, 오늘의 천주교회를 성장시킨 뿌리요, 줄기다. 따라서, 主後 350년대 후반부터는, 특히 동방교회에서 이미 성모 마리아께 대한 여러가지 아래와 같은 기념일의 제정과 경축이 지역교회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를 두고 시작되어 거룩하게 만발하였다.

[ 9월 8일의 聖母 聖誕 祝日],
[11월 21일의 聖母 自獻 祝日],
[ 2월 2일의 聖母 取潔禮 祝日],
[ 8월 15일의 聖母 昇天 祝日],
[12월 8일의 聖母 無染始胎 祝日],
[10월 1일의 콘스탄티노플의 主保 聖母大祝日],
[ 1월 15일의 農事 主保 聖母 祝日],
[ 5월 15일의 밀 農事 主保 聖母 祝日],
[ 8월 15일의 포도 農事 主保 聖母 祝日],
[ 6월 15일의 최초 聖母 聖堂 祝聖 祝日],
[每月 21일의 聖母 恭敬日], 등이 지방에 따라 크고 작은 행사로 거행되어 왔다.

에페소 공의회, 니케아 공의회, 콘스탄틴 공의회, 등 바티칸 공의회에 이르기까지, 천주교회는 성모 마리아의 평생동정과 천주의 모친, 무염시태와 성모승천, 등에 대한 신앙을 천주교회의 敎義(dogma)로 선언하였다. 특히, 역대 교황님들은, 8월 15일 성모승천을, 예수부활, 성령강림, 예수성탄과 함께 천주교회의 4대축일로 확정하였는데, 사실 이것은, 후대 교회가 새로이 제정하였다기보다도, 先代 교회의 오랜 신심과 전통과 역사를 공인하고 계승한다는 의미가 더 크다고 할 것이다.

일부 異端者들의 신학적인 異論도 없지는 않았으나, 교회는 주님의 福音宣布에 대한 信仰과 信心生活로 成長하는 것이다. 복음선포와 신앙생활은 신학이나 법규보다 훨씬 앞서는 것인데, 신앙을 보다 잘 설명하고, 지키며, 가꾸기 위하여, 훗날 출현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천주교회의 정통신학은 성모신심을 수호하고 발전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승천하신 성모님께서는, 천상에 계신 그리스도의 어머니시며, 지상에 있는 교회의 어머니시고, 그리스도신자들의 어머니이시므로, 2천년 교회 역사에 종종 지상 교회에 발현하시어, 우리를 가르치시고, 위로하시고, 이끌어주셨으니, 그동안 천주교회가 교황의 이름으로 公認한, [聖母 마리아의 최근 發現]을 몇 가지만 추려서 소개한다.

1830년~1836년, 프랑스 Paris에서 Cantering Labours 에게 발현하셨다.(奇蹟의 聖母)
1846년, 이태리 La Salesite에서 발현하셨다. (痛苦의 母親)
1858년, 프랑스 Lourdes에서 Bernard Salubrious에게 발현하셨다.(無染始胎의 聖母)
1879년, 아일랜드 Knock의 Madonna로 발현하셨다.(虛弱者의 聖母)
1917년, 폴투갈 Fatima에서 3명의 10세 전후 어린이들에게 발현하셨다.(反共勝利의 聖母)
1932년, 벨지움 Beauraing에서 5명 어린이들에게 발현하셨다. (祈禱하는 聖母)
1932년, 벨지움 Banneux에서 Maria Beco에게 발현하셨다.(貧者들의 어머니)

<참고 문헌 소개: “성모 마리아 學(MARIOLOGIA)”에 관한 저서와 기록들은 대단히 많은데, 그 중 최근에 편찬하여 발행된 아래 백과사전 내용이 가장 풍부한 역사문헌들을 열거하면서 잘 되었다고 보기에 소개하고자 한다. ENCICLOPEDIA DEI SANTI - BBLIOTHECA SANCTORUM - CITTA NUOVA EDITRICE, 1996, ROMA. Vol. VIII. P.814 ~ P.962>.

제1차 세계대전 막바지에 이르러, 1917년 폴투갈 Fatima에 發現하신 성모 마리아께서는, 10세 전후의 루시아, 히야친타, 프란치스코, 3명의 어린이들에게, 지금 이 큰 전쟁(제1차 세계대전)이 빨리 끝나도록 함께 기도하자고 권하시며, 열심히 기도하면, 얼마 안가서 이 전쟁은 끝나겠지만, 사람들이 悔改하고, 천주님께로 돌아오지 않고, 신자들도 열심히 기도하지 않으면, 지금 이 전쟁보다 더 무서운 큰 전쟁(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날 것을 말씀하시면서, 天主 聖父의 震怒하심을 면하도록, 함께 열심히 보속하며 기도하자고 권고하셨다. 지나간 2천년 천주교회 역사에, 참혹한 전쟁의 종식이나 휴전이나 대규모 포로들의 석방이 [성모님 축일]에 이루어졌음을 볼 때, 성모님께서 우리겨례를 위해주신다는 사실을 近代史에서 읽어볼 수 있다.

성모님의 轉求하심으로 제1차 세계대전은 1917년 후반기부터 바로 수그러들기 시작하여, 마침내 1918년에 끝났으나, 제2차 세계대전은 원자폭탄이 사용될 정도로, 인류역사상 前代未聞의 참혹한 전쟁이었다. 히틀러와 뭇소리니가 죽고, 독일이 재터미가 된 직후에도, 일본은 항복을 거부하면서 끝까지 싸우겠다는 결의를 발표하였으나, 마침내 1945년 8월 15일, 성모승천 대축일에, 일본이 항복하므로써, 수천만명이 죽어간 세계 제2차 대전이 끝났고, 우리나라는 光復이 되었다.

그래도 우리나라는 美.蘇 양 강대국 점령하에서 3년을 보냈다. U.N.의 결정에 따라, 남한에서는 U.N.감시하에 1948년 5월 10일 자유 총 선거가 실시되었다. 반만년 韓民族史에 최초로 순수 民意에 의한 선거로 制憲國會議員 198명이 선출되어, 같은 해 7월 17일에는 헌법이 제정, 선포되었다. 마침내, 1948년 8월 15일, 성모승천 대축일에 초대 대통령 이승만 박사와 3부 요인들은 온 국민과 함께 환호하며, [대한민국 건국]을 전 세계에 선포하였다.

그러나 신생 대한민국은 국제연합(U.N.)의 승인을 받아야 하므로, 장면 박사와 조병옥박사, 김활란 여사(?)를 파리 U.N. 총회에 파견하여, 그해 12월 8일, 성모무염시태 축일에 국제연합 U.N.총회에서 48대 6으로 확정되었으나, 실제 발표는 다음날(12월 9일)에 절대적인 지지와 승인이 발표되었다.

당시 외교의 황무지 상태에 있던 우리나라 대표들이고, 미국역시 대전 후, 오늘날처럼 아직 외교 조직이 자리잡히지 않던 시절이어서, 누구한테 가서 무엇을 어떻게 할지 막막하였다.당시 70여개국과 대사관계를 가진 로마교황청과 주한교황대사관(아직 정식 대사는 없던 시절)과, 또 여러 나라와 국교를 가진 프랑스의, [ 파리외방전교회(Mission Etrange du Paris)] 신부님들의 도움으로, 각국 대표들의 지지를 얻는데 큰 도움을 받았다.

사실, U.N.의 대한민국 승인에 관한 뒷 이야기는, 다음에 파리의 Lutetia호텔 이야기를 할 때 다시 한번 알리고 싶다(1992년 5월 3일 자, 조선일보, 문화면의, \"파리-2, 파리외방전교회\" 참조). 성모신심이 열정적인 프랑스 출신의 신부님들과 당시 교황청을 움직여준 분은 바로 우리나라를 사랑하시는 천상의 성모님이셨다. 48대 6의 U.N.승인은, 그후 1년 반만에(1950/6/25) 북한 공산군의 남침 때 많은 나라의 지원참전을 가능케 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U.N.대한민국 승인 기념일(12월 8일)에, 현재도 국내에서 활약하는,[파리 외방전교회]와 주한교황대사관에, 그 흔한 [감사장] 하나 정도는 표시할만하다.

2차 세계대전의 終熄과 韓民族의 解放, 大韓民國의 建國, 모두가 8월 15일, 성모승천대축일에, 그리고 U.N.의 대한민국 승인은 12월 8일 성모무염시태 축일에 확정이 되었으니(발표는 12월 9일에), 모두가 우리나라와 우리겨례를 사랑하시는 천상에 계신 성모님이 베푸시는 은덕임을 깨닫게 한다. 앞으로 남북통일의 획기적인 전환점도 8월 15일 [성모승천대축일]이나, 혹은 다른 [성모축일]에 이루어질 것만 같은 심정이다
Msgr. Byon
[Link Page Add] [Edit]



제1회 겨레의 꽃 무궁화축제를 시작하면서,


1997년 4월 5일 식목일에, 한민족100년계획천진암대성당건립위원회의 강영훈 위원장을 비롯한 내빈과 신도들은 한국천주교 발상지 천진암 성지 내 와 성지 입구의 3천여 평의 부지에 무궁화 동산을 조성하고 1만여주 무궁화를 식목하였다. 그후 매년 계속 심은 무궁화는 3만5천주에 달한다.

[무궁화(無窮花)]라는 이름은 일본이 조선을 점령할 당시 독립운동가들에 의하여 불려지던, 100여년의 역사를 가진 이름으로써 그 전에는 근화(槿花), 무게 나무 등으로 불리었다. 한반도에 살던 우리 조상들(東夷族)이 무궁화를 가꾸고 있었다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8세기 전후의 춘추전국시대에 저술된 <산해경 山海經>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책은 동진(東晉)때 곽박이라는 사람이 그때까지 전해내려오는 기록을 종합 정리한 것으로, \"군자(君子)의 나라에 훈화초(薰華草)가 있는데,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진다\" 고 하였다. 군자국은 우리나라를 가리키는 것이며, 훈화초는 무궁화의 옛 이름이다. 또한 신라 효공왕이 문장가인 최치원에게 작성시켜 당나라에 보낸 국서(國書) 가운데 \'근화향(根花鄕 : 무궁화의 고향나라)은 겸양하고 자중하지만…\'하고 기록하고 있어, 신라를 일컬어 근화향 곧 무궁화의 나라라고 하고 있다. 조선 세종 때 강희안이 저술한 한국 최고의 화목에 관한 책인 <양화소록 養花小錄>에는 \"우리 나라에는 단군이 개국할 때부터 이미 무궁화를 가꾸었기 때문에 중국에서 우리나라를 일컫되 반드시 \'무궁화의 나라(槿域)\'라 말하였다\"는 기록도 있듯이, 무궁화는 우리겨레와 3,4천년의 역사를 가진 셈이다. 일제의 <왜기 倭記>에는 \"무궁화는 조선의 대표적인 꽃으로서… 고려시대에는 전 국민으로부터 열광적인 사랑을 받았으며, 문학상·의학상 진중한 대우를 받았다. 일본의 벚꽃, 영국의 장미와 같이 국화로 되어 있다가 조선조에 들어와 왕실화가 이화(李花)로 정해져서 무궁화는 점차로 세력을 잃고 조선민족으로부터 소원해졌던 것인데, 20세기의 문명이 조선에 들어옴에 유지들은 민족 사상의 고취와 국민정신의 통일 진작에 노력하여 붓과 말로 천자만홍의 모든 꽃은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이로되 무궁화는 여름과 가을에 걸쳐 3개월을 계속해서 핀다고 하여, 그 고결함과 위인적 자용(偉人的 姿容)을 찬미하였다. 따라서 무궁화 강산 운운은 자존된 조선의 별칭인데 …\"라는 기록과 같이, 우리 민족과 무궁화의 관계는 천륜적이라 하겠다. 또한 \"조선에도 개화풍이 불어오게 되고 서양인의 출입이 빈번해지자 당시의 선각자 윤치호 등의 발의로 양악대를 비롯하여 애국가를 창작할 때에 애국가의 후렴에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이라는 구절이 들어가면서 무궁화는 조선의 국화요, 겨레의 꽃이 되었다. 안창호 등이 맹렬히 민족정신을 고취할 때에 연단에 설 때마다, 가두에서 부르짖을 때마다 주먹으로 책상을 치고 발을 구르면서 무궁화 동산을 절규함에, 여기에 자극을 받은 민중은 귀에 젖고 입에 익어서 무궁화를 인식하고 사랑하게 되었다\"(1935. 10. 21. 동아일보)라는 당시의 보도는 실로 중요한 기록이다 <한국 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제 8권 p.145-146 참조>.




결국 무궁화는 단순히 나라의 꽃이라기 보다는 \"겨레의 꽃\"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천진암 성지에서는 이미 20년 전부터 무궁화를 심기 시작하였었다. 1979년에 수백주를 심었고, 1980년과 1981년에도 2000여주를 심었으며, 1982년도에는 3000여주, 그리고 최근에는 10,000여주를 심었고, 한민족100년 계획 천진암대성당 주변의 토목공사가 끝나면 모두 300,000여만주의 무궁화를 심을 예정이다.

이제 무궁화에 대한 사랑은 사실 한국 천주교 성직자들의 문학 작품과 신자들의 성가 속에 이미 표현되고 있다. 이미 반세기 전에 고 최민순 신부님께서 지으신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 노래를 보면 \"서라벌 옛터전에 연꽃이 이울어라. 선비네 흰옷자락 어둠에 짙어갈 제 한 떨기 무궁화로 피어난 님이시여\"라고 하므로써, 김대건 신부님을 한 떨기 무궁화에 비유하고 있다. 또한 지난 1984년 로마 교황성하께서 한국에 오시어 거행하신 103위 시성 당시 시성추진부에서 영문판으로 발행하였던 103위 성인전의 표지에도 우리나라의 꽃인 무궁화를 전면 총천연색으로 넣음으로써, 신앙 속에서의 무궁화에 대한 사랑을 표현하였다. 이렇게 겨레의 꽃인 무궁화에 대한 사랑은 신자들의 성가 속에서, 103위 성인전 속에서, 그리고 한국 천주교 발상지 천진암 성지에서, 성장하는 무궁화 동산으로 자리잡고 있으니, 더욱이 올해부터 조용히 조그마하게 개최되는 어린이들 중심의 무궁화 축제를 시작으로 100년 계획으로 계속될 것이다. 매년 우리나라의 곳곳에서는 벚꽃 축제가 벌어지고 있다. 벚꽃 자체가 나쁠 것이야 없겠지만, 일본의 국화 축제는 앞을 다투어 열면서도, 나라꽃이며 겨레의 꽃인 무궁화축제에 대해서는 그토록 소원하였음을 우리는 부끄러워하면서, 올해부터 우리는 촌스럽고 쑥스럽다고 흉잡히더라도 무궁화 축제를 벌이기로 하였다. 무궁화 축제는 오락과 소비와 향락을 위한 축제가 아니라 철학이 있는 축제이고, 민족 정신을 소생시키는 숨쉬는 역사의 축제이며, 역사정신을 되살리는 축제가 될 것이다. 무궁화에 대한 노래와 시가 너무나 빈약한 지금 새로 짓는 무궁화 시로 작곡도 시도 할 것이고, 앞으로는 무궁화 장학금도 주면서 다채로운 행사를 마련할 것이다.
<무궁화 축제의 축사를 한 장극 박사 소개>

시편을 비롯한 성서를 보면 이스라엘의 민족정신이 신앙과 얼마나 잘 융합되어 있는지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신앙심과 애국심, 민족애는 결코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구분될 뿐이다. 애국심은 신앙심으로 승화되고, 신앙심은 이웃사랑이라는 면에서 애국심으로, 민족애로 발전 강화하는 것이다. 천진암 성지는, 사람들이 무궁화가 심겨진 진입로를 따라 성역으로 오르게 되며, 애국심을 키우고, 그 키워진 애국심은 성지에 서려 있는 선조들의 신앙과 순교의 정신을 힘입어 더욱 강한 실천신앙으로 결실되고, 그 신앙심은 다시 성지 주변의 무궁화들을 통하여 애국심과 민족정신으로 꽃피우게 될 것이다. 이제 천진암 성지는 애국심과 신앙심을 하나로 묶어서 자손만대에 전승하는 그런 성지로 성장할 것이다. 그리하여 한국 천주교회는 애국심과 신앙심을 하나로 합하여 거룩한 새 민족문화를 이루도록 해야 하며, 따라서 민족정신과 천주교신앙이 상호보완적인 성장과 결실로 무궁히 발전케 해야 하겠다. 천주교회를 민족 정신의 토양 위에서 키우고, 우리의 민족문화는 전 세계적인 천주교 신앙을 받아 하나가 되어, 온 겨레가 천주와 더욱 밀접히 결합하는 새 역사가 이 천진암 성지에서 더욱더 튼튼히 뿌리내리게 될 것이다.

<1999. 8. 29. 한국 천주교 발상지 천진암 성지 주임 변기영 신부>